티스토리 뷰
목차
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 전국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이라면 일정금액을 다시 돌려주어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입니다.
한 달 동안 7만 원의 대중교통비를 지출한다고 하면 1년 동안 17만 원에서 최대 44만 4천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는 K페스 카드는 아래애서 빠르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란?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한 달 동안 대중교통비로 지출한 금액의 일정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카드입니다. 월 15회 이상 이용하였을 경우 일반인은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3%를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고, K패스 카드는 신규회원가입을 하거나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했던 대상은 회원전환 절차를 거쳐야 K패스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 신청대상
K패스 카드 신청 대상으로는 전국 지자체에 등록된 주민등록상 만 19세 이상인 분들이 신청하실 수 있는 카드입니다. 가입 한 첫 달은 15회 미만으로 이용하더라도 다음 달에 이용금액의 일정비율을 돌려받을 수 있고, 1회당 지출한 대중교통비 적립 금액 예시입니다.
K패스 카드 발급방법
10개의 카드사에서 K카드를 발급받아 K-패스 공식 앱 또는 누리집에서 회원가입 절차를 거치면 되고, 이때 발급받은 카드번호 등록이 필요합니다. 이때 카드사마다 추가로 제공하는 혜택도 모두 다르니 꼼꼼하게 확인하시어 본인에게 가장 합리적인 카드를 발급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 환급방법
K패스 환급 방식은 발급받은 카드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카드와 연결된 계좌로 적립액을 환급해 주고, 신용카드의 경우 다음 달 결제대금에서 적립액만큼 차감해 줍니다. 그 외 선불형 충전식 카드는 해당 카드사 앱에서 적립액만큼 다시 교통카드에 충전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K패스 카드 신청대상과 발급방법까지 살펴보았는데요, 기존에 사용하던 알뜰교통카드는 출발과 도착을 어플에서 직접 눌러줘야 했기 때문에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K패스 사업은 시작과 동시에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K패스 카드 신청이 몰리면서 발급이 늦어지고 있다고 하니 서둘러서 신청하여 교통비를 절약하시기 바랍니다.